지난 글에서는 한국은행의 금리 조절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 공부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금리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 볼 건데요. 이전 글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 오시면 되겠습니다 :)
한국은행의 역할과 금리인하의 부작용 이해하기/경제상식
지난 글에서는 '금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 공부할 내용은 금리와 밀접한 한국은행의 역할에 대해서 공부를 해볼 건데요!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금리에 대해 잘 모르시거나 개
ec-escape.com
지, 오늘은 미국 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미국 금리가 국내 경제에 주는 영향
GDP 성장률은 한 나라의 성장률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GDP=C(소비)+I(투자)+X(수출) 입니다. 우리나라는 이 중에서 투자로 제일 먼저 성장을 했습니다. 왜냐구요? 수출을 하려면 팔 물건이 있어야 하는데, 물건을 만들 공장을 짓기 위해 투자를 제일 먼저 했습니다. 그래서 투자를 해서 제품을 생산하고, 이 제품들을 수출하거나 내수 시장에서 소비시켰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경제규모가 작기 때문에 소비보다는 해외로 수출을 많이 했습니다.
미국의 GDP를 봐보겠습니다. 미국은 C+I+X 중 소비가 성장에 70%를 차지할 정도로 내수시장이 매우 큽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X(수출)은 미국의 C(소비)를 공략했죠.
소비를 위해서는 '소득'이 있어야 하고, 소득 중에서도 지출이 가능한 소득인 '가처분 소득'(임금-고정지출)이 높아야 소비가 잘 일어납니다.
자, 그러면 하나씩 뜯어 봅시다.
첫번째, 미국의 임금은 고용과 연결되어 있어 미국의 시장을 볼 때, 보통 미국의 고용지표를 신경씁니다. 미국 시장은 우리의 수출을 받쳐주기 때문에 국내 투자자들이 이를 신경쓰고 있죠.
두번째, 미국의 금리는 FOMC의 결정에 큰 영향을 받는데, 우리는 수출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우리나라 수출 또한 FOMC 회의 결정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세번째, 미국의 생활비는 물가에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따라서 시장을 볼 때, 1) 미국의 고용지표 2) 금리결정 3) 물가지표 이 3가지를 주의깊게 봐야합니다. 이는 미국 내 소비에 영향을 주고, 미국에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도 영향을 많이 박디 때문이죠. 이처럼 미국의 금리는 우리나라 수출에 영향을 줍니다.
추가로, 우리나라 특성상 주식 투자시에 개인-외국인-기관 중 외국인의 영향력이 제일 큽니다. 미국의 금리(이자)가 높으면 외국인들은 굳이 해외투자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미국의 경기가 좋아, 금리가 올라가면 한국의 주식과 채권을 매도하고 원화로 달러를 사면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휘청이게 됩니다. 그래서 미국의 금리는 우리나라 주식 투자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됩니다. 예시로,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국내 주식시장으로 많이 들어오게 되는 거죠.
FOMC 회의란?
여기서 잠깐, 미국의 기준금리는 어디서 결정할까요? 잘 모르시는 분들도 메스컴에서 FOMC 회의를 언급하는 것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전 글에서 금리는 중앙은행에서 결정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결정하고, 미국은 FOMC 회의에서 금리를 결정하죠. 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의 약어입니다. FOMC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로 금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이 값이 유지되도록 자금을 빨아들였다 풀었다를 반복하는데, 이를 '공개시장조작'이라 합니다.(※공개시장: Open Market)
FOMC 회의의 운영방법은 17명의 위원회 중 12명이 금리를 올릴지말지 등 통화정책을 결정합니다. 회의 시기는 45일에 한 번(연 8회)이며, 1년치 회의일자를 미리 공지합니다. 한 번 회의가 개최되면 이틀이 소요됩니다. 그리고 FOMC 회의는 2주 전에 '베이지 북'이라는 미국의 경제동향을 분석&보고서를 참고합니다. 회의가 끝나면 1장짜리 '성명서'를 중앙은행 의장(23년 1월 기준, '파월')이 발표 후 기자회견에서 질의응답이 이루어지고, 3주 후 회의내용이 담긴 '의사록(Minutes)'을 발표합니다.
FOMC 사이트에는 회의 일정을 공시해놓는데, 들어가보면 3월,6월,9월,12월 옆에 일자에 *(별표) 표시가 붙어있습니다. 이는 경제전망을 내놓는 시기를 표시해 둔겁니다. 예를 들어, March 16-17* 이렇게 되어 있다면 3월 16~17일에 FOMC회의를 진행하고, 이때 경제전망도 발표할 거란걸 표시한 것입니다.
그리고 회의가 시행된 일정의 게시글을 보면 17명의 위원들이 금리 전망을 내놓습니다. 점수만큼 금리 인상을 내다본다는 것인데, 이는 FOMC 전문가들이 금리를 언제 올릴지에 대해 힌트를 주는 것입니다 지난번과 회의 결과와 비교해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봐줘야합니다.
보는 과정이 어렵거나 궁금하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사진과 함께 추가 설명하여 글을 게시해놓겠습니다.
마무리
오늘은 미국금리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와 그 미국금리가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한 공부를 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금리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서 공부해보도록 하죠!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원유가격/수요와 공급 이해하기/경제상식 (0) | 2023.01.15 |
---|---|
달러/달러투자/국제유가 이해하기/경제상식 (0) | 2023.01.15 |
인플레이션/디플레이션 이해하기/경제상식 (0) | 2023.01.11 |
한국은행의 역할/금리인하의 영향 이해하기/경제상식 (0) | 2023.01.04 |
기준금리/시장금리/채권금리/채권가격 이해하기/경제상식 (0) | 2023.01.03 |
댓글